Life Cycle Assessment approach. 종량제 봉투(HDPE), 종이 가방. 진짜 친환경은 어디 숨어 있을까? (2022 LCA)
요즘 자꾸 눈에 밟히는 "이마트 부직포 가방" 알비백이야 비싸니까 사람들이 잘 내 놓지만, "부직포백 없으면 새 부직포백에 담아드림" 이라는 컨셉 때문에 자꾸 거슬렸던 것 같다. 그렇게 부직포가방들은 재활용 분리 배출되어 나가고 있더라. (재활용 부가가치를 올리는 재질은 아니라서, 의미가 있지는 않지만, 분리배출하는게 나을 수도 있겠지;;) 근데, 그럴거면, 차라리 종이 봉투에 넣어줬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부직포 가방은, HDPE bag - 비닐 봉투 - 와 비교해서 좋을 게 하나도 없다. 재활용도 잘 안되고, 연료성도 높지 않다.) 그래서, 여러 시야에서 마트 쇼핑때에는 "무엇이 더 나은 선택이었을까"를 생각 해 보다가, 흔히아는 비닐봉투(HDPE bag)과, 종이가방의 탄소배출 + 재활용 에 대..
2022. 4. 16.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등에 관한 법률. 돈은 누가 벌고 있는걸까?
화평법 때문에, 화학기업이나 화학물질을 수입하는 사업체들은 “등록”을 위한 비용을 지출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당장은 1000톤 이상 유통되는 물질, 2030년까지 1톤 이상 수입되는 물질을 (신규화학물질- 국내에 유통된 이력이 없던 물질- 은 100kg이상 수입되는 물질) 등록 해야 한다. 등록은 뭘 하라는건지 잘 모를 수도 있으니, 대략 요약해 보면, 유통하고 있는 “물질의 특징을 정보화 해서 제출하는 작업” 이다. 제출해야 하는 정보는 “물리화학적 특징, 인체 독성 자료, 환경 독성 자료” 이다. 물리화학적 특징은, 밀도, 인화점, 용해도 같은 것들이고, 인체 독성 자료는, “급성 독성” 이나, “발암성” 같은 자료, 환경 독성 자료는, 물고기, 미생물등에 발생하는 독성 자료 인데, ..
2022. 1. 26.